'214명 사망' 부울경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간담회 3일 열린다



환경부 주관 전국 순회 간담회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에 대한 환경부 주관 전국 순회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마지막 순번의 부산·울산·경남 지역 간담회가 오는 3일 열린다.

NISI20240206_0020223189_web.jpg


1일 부산환경운동연합·환경보건시민센터(환경단체)에 따르면 3일 오후 2시 부산진구 부산상공회의소에서 환경부 주관 부·울·경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간담회가 진행된다.

이 간담회는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 배·보상의 조정을 위한 피해자 의견 수렴 과정의 일환으로 마련, 지난달 17일부터 환경부가 전국을 순회하며 개최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 수도권, 충청·대전권, 전라·광주권 등에 이어 부·울·경 지역이 마지막 순서다.

환경단체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정부에 신고된 전국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7993명이다. 이 중 사망자는 1891명으로 조사됐다. 병원비와 장례비 등 최소한의 긴급 구제를 지원하는 구제법에 의해 5828명이 피해자로 인정됐다.

이 중 부·울·경의 경우 피해 신고자는 822명, 사망자는 214명이다. 구제법 인정자는 597명, 미인정자는 225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환경단체는 피해자에게 불리한 조정이 이뤄지면 안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들은 "조정이 합의된다면 피해 구제법에 담아 법적 해결책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간담회와 더불어 구제법의 불인정 이유와 피해 등급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도 별도로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피해자 이견을 보이는 부분을 고려해 사망 유족을 중심으로 한 일괄 조정금 지급 방식과 앞으로 오랜 기간 치료받아야 할 환자에 대한 치료 우선 보장 방식으로 구분해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환경단체는 아직도 전체 피해자의 1%도 신고가 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호흡독성이 우려되는 분무식 생활화학제품의 안전의무화 제도는 여전히 도입되지 않았으며, 사상 최악의 환경 참사이자 소비자 참사인 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부산.경남 최갑룡 기자

Close Menu
투명 상태입니다.
색을 지정하려면 투명도 값을
변경해주세요.
Color
Opacity
Color format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