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금구산성, 후백제 수도 방어한 '집수정지' 실체 확인


후백제 수도권 방어 핵심…시굴조사로 역사적 가치 재조명



전북 김제시 금구산성에서 후백제 시기 수도 방어를 위해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집수정지(集水井址)'의 실체가 처음 확인됐다.

NISI20250414_0001817305_web.jpg


14일 시에 따르면 도지정문화유산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3월31일부터 4월10일까지 금구산성 시굴 조사를 했다.

조사에서는 산성 내 주둔군이 사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집수정지 1기와 석축 구조물 1기를 비롯해 삼국시대부터 후백제 시기에 이르는 유물이 확인됐다.

조사를 진행한 조선문화유산연구원은 "후백제가 외세와의 전투에 대비해 상시 전시체제를 유지했던 점을 감안할 때 금구산성은 완산주 서남부 방어의 핵심 유적으로서 성격이 더욱 분명해졌다"고 평가했다.

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밀 발굴조사와 인근에 있는 군사시설에 대한 추가 조사도 병행할 방침이다.

정성주 시장은 "후백제의 정신적 중심지였던 금산사와 더불어 금구산성의 군사적 가치가 밝혀지고 있다"며 "국가유산이 시민의 자긍심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구산성은 금구면 남동쪽 봉두산 정상부를 둘러싸고 축조된 테뫼식 산성으로, 조선시대 지리지 등에서는 '봉두산성'으로도 불린다.

산성 주변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발견돼 군사적 요충지로 주목받아 왔다.

봉두산 정상에서는 정읍·익산·군산·완주·부안 등 서남부 평야와 해안지역이 한눈에 들어와 후백제 수도인 완산주의 방어 거점으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제기돼 왔다.




전북 장우진 기자

Close Menu
It's transparent.
Adjust the opacity to set the color.
Color
Opacity
Color format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