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보건소, 의심 사례자 역학조사
제주지역 벚꽃축제 현장에서 음식을 먹은 방문객 수십 명이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여 보건당국이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개최된 제주시 왕벚꽃 축제에서 일부 노점이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한 사실이 온라인 상에 퍼져 '제주도 바가지 요금' 논란이 다시 제기됐다. [사진 : SNS 캡쳐]
18일 제주보건소에 등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된 전농로 왕벚꽃 축제에서 음식 섭취 후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인 사례자는 총 80명이다. 축제가 마무리된 지 2주가 넘은 현재까지도 관련 신고는 계속해서 접수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주보건소 관계자는 "의심 증상을 보인 사례자는 대부분 설사와 복통 등 증상을 호소한다"며 "축제 주최 측과 보험사 등에 신고가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식중독 의심 증상 사례자에게는 보상 절차도 이뤄지고 있다. 축제 주최 측은 영수증을 제출받으면 보험사를 통해 보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전농로 왕벚꽃 축제는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순대 6개가 들어간 순대볶음을 2만5000원에 판매했다는 등의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자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여론이 악화하자 제주도는 뒤늦게 바가지 요금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개최 예정인 도내 축제에서 음식 부스 내부와 외부에 가격표를 게시하도록 조치했다.
또 메뉴판에 음식 사진을 추가하거나 부스 앞 음식 샘플 모형을 비치하도록 했다. 도는 동참업체에는 착한가격업소 추천 및 인센티브를 지원할 계획이다.
잊을 만하면 '바가지요금' 논란으로 제주 관광이미지가 추락하자 오영훈 제주지사는 업종별 권장가격 도입과 가격 불만 신고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오 지사는 "제주를 찾은 관광객 사이에서 '비싸다', '불친절하다'는 말이 반복되고 있다"며 "관광불편신고센터를 통한 가격 불만 신고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물가 안정화 방안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 물가 수준과 정보를 계속 제공해 나가겠다"면서 "가격 불만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권장가격 가이드라인 도입과 함께 관광물가에 대한 일원화된 소통 창구를 개설하는 것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주 관광 지표는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내국인 관광객 감소세가 업계에 위기감을 불어 넣고 있다. 올해 2~3월 제주도를 방문한 관광객은 전년 동기 대비 11.5% 감소했다. 내국인 관광객의 감소폭은 지난해 말 6.2%에서 13%로 확대됐다.
제주 윤동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