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文 수사 장기화…"답변서 회신 후 방향 결정할 것"


한 달 가까이 질의서 답변 도착 없어
조기 대선 등도 변수…"좌고우면 않아"



문재인 전 대통령의 옛 사위 특혜채용 의혹과 뇌물 의혹을 들여다보는 검찰의 수사가 장기화되는 모양새다.

NISI20241004_0020544369_web.jpg


21일 전주지검 형사3부(부장검사 배상윤)에 따르면 검찰은 문 전 대통령 측에 사건과 관련한 질의서를 보낸 뒤 현재까지 문 전 대통령의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전주지검은 지난 2월 문 전 대통령 측에 조사를 위해 협의를 요청했지만 문 전 대통령 측은 무응답이었고, 이후 두 차례의 출석 요구에도 응하지 않았다.

그러던 중 문 전 대통령 측이 "서면조사를 진행해 달라"는 요청을 하자 검찰은 이를 받아들여 질의서를 전달했다.

하지만 질의서 전달 후 약 한 달의 시간이 지났지만 현재까지도 답변서는 오지 않았다.

검찰은 답변서를 토대로 문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는 물론, 다른 피의자인 문 전 대통령의 딸 문다혜씨와 옛 사위 서모씨에 대한 조사 방식을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검찰은 문 전 대통령을 최우선적으로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그렇기에 문 전 대통령 측의 답변서가 도달해야 수사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이 검찰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현재 다혜씨와 서씨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 방향을 세우거나 이들과 조사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 것도 없다고도 덧붙였다.

검찰은 서면 조사 무산 가능성을 현재로서는 배제하고 회신을 기다리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답변서가 도착할지도 의문"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어 수사가 더욱 늘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존재한다.

또 하나의 걸림돌은 '외풍'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조기 대선 등으로 급변한 정치 지형 속에서 검찰의 수사가 속도를 낼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줄곧 검찰을 향해 '정치 보복 수사'라고 강하게 날을 세웠다. 민주당 전정권 정치탄압 대책위원회는 지난 1일 전주지검에 항의 방문해 "권력의 시녀가 돼 정치 탄압에 앞장선 정치검찰의 끝은 결국 파멸 뿐"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기도 했다.

다만 검찰은 외부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만을 고수했다. 검찰 관계자는 "늘 말씀드리지만 검찰은 법과 원칙에 따라 좌고우면하지 않고 신속히 수사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서씨가 타이이스타젯에 취업하게 된 경위가 석연치 않은 상황에서 받은 급여와 이주비 등이 뇌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상직 전 의원의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 이사장 임명을 대가로 서씨가 타이이스타젯에 취업했고, 서씨가 받은 급여·이주비 등으로 인해 문 전 대통령이 다혜씨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중단한 만큼 이 급여·이주비가 뇌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사건과 관련해 피의자로 입건된 이는 문 전 대통령·다혜씨·서씨(뇌물수수), 이 전 의원(뇌물공여·업무상 배임), 박석호 타이이스타젯 대표(업무상 배임), 조현옥 전 인사수석(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으로 모두 6명이다.

이 중 문 전 대통령·다혜씨·서씨만이 기소되지 않고 검찰의 수사가 진행 중이다.




전북 장우진 기자

Close Menu
It's transparent.
Adjust the opacity to set the color.
Color
Opacity
Color format
Col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