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전략산업 대응 탄성소재 재도약’ 예타 대상사업 선정

고기능, 신기능, 지속가능 탄성소재 기술개발
총사업비 2304억원, 20개 연구개발(R&D) 과제 수행
부산·경남·전남, 초광역 경제협력 사업으로 국가 균형발전 기대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경상남도, 전라남도와 함께 공동으로 기획한 ‘핵심전략산업 대응 탄성소재 재도약 사업’이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1년 4월 부산·경남·전남 3개 시·도지사가 ‘남해안 탄성소재 벨트 구축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지자체 총괄은 ‘부산시’가, 사업기획 관리는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이 전담했으며, 2022년 제3차 ‘핵심전략산업 대응 탄성소재 재도약 사업’으로 기획하고 국가 연구개발(R&D) 예타 대상 사업을 신청, 이날 선정됐다.

탄성소재는 모빌리티, 전기전자 등 산업 전반에서 진동 방지와 실링(밀폐)에 활용되는 핵심 소재다.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 동안 총 2304억원(국비 1625억원, 지자체 103억원, 민간 576억원) 이 투자되는 이번 사업은 연구개발에 총 1920억원을 투자해 고기능 탄성소재 10개 과제, 신기능 탄성소재 6개 과제, 지속가능 탄성소재 4개 등 총 20개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소재·공정·부품화 실증지원 및 성능평가·인증 등 기반 구축에 384억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이들 20개 연구개발 과제를 통해 9103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880억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6128명이 고용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과제를 수행할 실증센터는 ▲부산 한국신발피혁연구원(사상구 탄성소재연구소) ▲경남 테크노파크(양산시 탄성소재실용화센터) ▲전남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순천시 첨단고무소재지원센터) 등 3곳이다.

부산 탄성소재연구소 내에 상용화혁신지원단을 운영해 3개 실증센터의 총괄관리, 산·학·연·관 협의체 구성, 비 연구개발(R&D)사업 간 연계 전략 수립, 인력양성 사업 추진 등을 함으로써 3개 시·도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 사업이 예타 대상 사업이 됨에 따라 과기부의 조사를 받아 내년 상반기에 통과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박형준 시장은 “탄성소재를 부산의 신성장 산업으로 중점 육성하기 위해 이번 사업이 내년 상반기 국가 연구개발(R&D) 예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경남본부장 / 최갑룡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