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전주 이전 이후 서울 재이전 주장 되풀이
전북도 "법령 명시, 이전 후 홍보 등 적극적 대응"
국민연금공단이 전북 전주로 이전한 이후 매년 '국민연금 흔들기'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어 전북도민의 분노가 커지고 있다.
6일 전북도와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일부 언론에서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서울 이전을 지시했다는 내용이 보도됐다.
이 매체는 국민연금 기금의 운용 최악의 수익률과 인력유출 문제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도와 국민연금은 '그런 지시가 없다', '가짜뉴스'란 표현까지 인용하며 사실이 아님을 밝혔다.
또 도는 긴급 설명회를 갖고 "전주 이전에 따른 기금운용본부 가능을 의구심을 가지는 곳에서 단순 운영계획과 전주 이전 전·후를 비교해 틈이 있다고 해서 이전 등 논리를 같이하는 것은 분명히 확대 해석한 것"이라며 "이러한 내용에 대해 (단호히)대응토록 해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 재이전과 분소설치 등에 대한 내용은 국민연금법 27조에 분명히 명확히 명시되어 있다"면서 "앞으로 전주 이전 후 성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직원 만족도 분석, 정주여건 개선 등 지속적인 노력도 이어갈 방침"이라고도 덧붙였다.
국민연금법 제27조 1항(사무소)은 '공단의 주된 사무소 및 제31조에 따라 기금이사가 관장하는 부서의 소재지는 전라북도로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전주에 국민연금을 이전시키고 이후 서울로 다시 회귀시키지 않으려는 전북 정치권과 행정의 노력이 담긴 결과물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을 비웃듯 국민연금 이전설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7년 국민연금 전주 이전 이후 중앙정치권을 중심으로 '전주 이전 리스크', '위기의 기금운용본부', '국민연금 패싱' 등 국민연금 흔들기를 지속해왔다. 더 나아가 '논두렁 본부'라는 저급한 표현까지 쓰며 전주 이전 후 국민연금을 지역과 연계시켜 계속해서 깎아내렸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전북 혁신도시에 3금융중심지 지정과 자산운용 중심의 금융도시 조성을 추진 중인 전북도 입장으로서는 결코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국민연금 전주 리스크가) 지속적 노출이 되고 논쟁까지 이어지고 있다"면서 "기금운용본부와 국민연금은 전북이 추진하는 금융중심도시를 반드시 유치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이다. 금융도시 민간추진위원회와 전북애향운동본부, 정치권과 적극 협조해 대응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전북정치권도 마찬가지다. 전북 정치권은 '더이상의 국민연금 흔들기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은 "매년 정치권 등 외부를 중심으로 국민연금이 마치 전주로 이전한 이후부터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연관짓고 있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윤 대통령의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서울 이전 지시설이 사실이라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북본부장 / 장우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