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플론튜브 장착 미흡…2년 정비한 정비사
공군 "조종사 실수 없었으면 정상 착륙했을 것"
지난해 북한의 무인기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출격하던 KA-1 추락 원인이 미숙련 정비사의 정비와 조종사의 위급상황 대처 실수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정비사는 KA-1 전투기 정비를 2년 동안만 진행해 숙련도가 부족했고, 조종사는 부대에 배치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요기 조종사(초보 조종사)인 것으로 전해졌다.
30일 공군은 ' KA-1 사고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KA-1 사고의 원인에 대해 밝혔다.
KA-1 추락사고는 지난해 말 군사분계선(MDL) 이남으로 침투한 북한의 무인기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했다. KA-1 공중통제공격기는 지난해 12월26일 실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오전 11시38분 원주기지를 이륙했고, 이륙 1분 후인 11시39분22초에 임무 조종사는 이륙 직후 엔진 출력의 이상 현상을 감지하고 비상착륙을 하기 위해 기지로 회항했다.
다만 조종사는 안전한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오전 11시39분24초에 민가가 없는 쪽으로 기수를 돌혔다. 이후 11시39분39초 고도 410피트(약 125m), 강하각 27도의 불안정한 상태에서 비상탈출을 실시했으며, 사고기는 비상탈출 1초 후인 11시39분40초 지면과 충돌했다.
공군은 사고 직후 사고조사단을 구성해 잔해 분석, 조종사 진술, 비행기록장치 확인, 비행상황 분석, 엔진계통 손상 분석 등을 진행했으며, 조사 결과 ▲엔진 연료조절장치에 대한 창정비 작업절차 미준수로 인한 엔진 이상 현상 ▲조종사의 상황판단 및 처치조작 미흡이 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밝혀냈다.
먼저 공군은 창정비 작업절차 미준수로 엔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연료조절장치 구동축에 끼우는 테플론튜브(Teflon Tube)가 너무 강한 힘으로 장착된 탓에 구동축과 테플론튜브 사이에 이격이 발생했다는 주장이다.
이로 인해 테플론튜브 밑부분에 부풀림 형상이 발생했고, 엔진 연료공급이 일정하게 이뤄지지 않아 엔진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했다는 분석이다. 테플론튜브가 비정상적으로 장착됐던 2021년 5월 이후 KA-1 공격기는 260여 시간 비행했다.
테플론튜브 장착 미흡의 원인으로는 미숙련 정비사의 실수가 지적됐다. KA-1과 더불어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는 KT-1은 창정비 주기가 3000시간 또는 6년으로, 보다 먼저 도래하는 시기에 실시한다. 다만 우리 군은 KA-1 도입 초기인 2005년부터 2009년까지는 제작사가 지정한 해외정비업체에 맡겨 정비를 했다. 직접 공군이 KA-1을 정비한 시기는 2010년 이후다.
또 공군에서 해당 장비와 관련한 절차를 담당하는 작업자는 2010년 이후 3명 교체됐다. 특히 이번 사고기의 정비를 맡았던 담당자는 KA-1 정비기간이 2년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군 관계자는 "작업자 문책 부분에서는 이전 작업한 사람과 현 작업자의 결과물을 샘플링해서 보니 1차에 했던 분들은 작업을 잘 했다. 2~3차로 교체되면서 약간씩 문제점이 노출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해당 작업은 단일 작업자가 수행하는 정비다. (1차 작업자 당시) 문제가 발견된 것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조종사의 상황판단 및 처치조작 미흡도 주요 사고 원인으로 지적됐다.
먼저 조종사는 KA-1 공격기의 엔진 이상 현상을 엔진 프레임 아웃(엔진이 꺼진 상태)으로 착각했다. 항공기 엔진의 출력을 나타내는 토크(Tq)가 최고 78(최대 80)까지 올랐다가 급격히 떨어짐에 따라 엔진 프레임 아웃으로 잘못 인지하고 대응했다는 것이다.
또 부정확한 상황 인식으로 당황한 조종사가 항공기 조작을 미숙하게 해 추락으로 이어졌다. 조종사는 비상상황훈련 절차에 따라 5도 이하의 완만한 각도로 좌선회해 모항(원주기지)으로 돌아왔어야 한다. 다만 당황한 조종사가 급격하게 좌선회 했고, 항공기 강하 각도가 27도까지 떨어졌다. 이로 인해 KA-1 공격기는 비상착륙이 아닌 추락으로 이어졌다.
해당 공격기를 조종한 조종사는 초보 조종사를 뜻하는 '요기(僚機) 조종사'인 것으로 전해졌다. 요기 조종사는 공군사관학교 등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모든 비행교육을 끝내고 일선 전투비행단의 비행대대에 배속된 뒤 추가 교육까지 마친 조종사다.
초보 조종사인 요기는 일반적으로 단독 비행을 하지 않는다. 보통 2대의 전투기가 함께 비행을 하는데, 이때 요기를 지휘하는 조종사가 바로 분대장이다.
공군 관계자는 "엔진 이상에 따라 항공기가 아무런 반응이 없다가 순식간에 엔진출력이 확 떨어졌다. 그래서 조종사는 엔진 프레임 아웃이라고 착각했다"고 설명했다.
또 "강하각도를 완만하게 했어야 하는데 너무 급하게 했다. 조종사가 조치하면서 악조건을 만든 것"이라며 "악조건에서는 조치가 어렵다. 강하 각도가 27도이면 정상적인 전투기의 최고 출력으로도 어려웠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상황이 실상황이어서 무장이 평소보다 무거웠다. 비상출격하고 하는 상황에서 조종사가 당황하지 않았다 생각한다. 훈련을 많이 했다고 하지만, 훈련했음에도 미흡하게 처리됐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시뮬레이션을 했다. 가정해보면 그 상황에서 조종사가 잘 처치했으면 추락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군은 사고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고기 조종사와 관련 정비사, 지휘책임자 등 사고관련자를 문책위원회에 회부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사고조사 결과를 교육하고, 엔진 이상 발생 시 비상처치 절차와 비상착륙 절차 등을 재강조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공군은 동일 엔진을 장착한 KA-1과 KT-1의 모든 연료조절장치에 대해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3월31일부로 점검이 완료된 항공기부터 단계적으로 비행을 재개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부 차장 / 곽상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