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집단폐사 막으려면 여의도 1000배 꽃·나무밭 필요"

'벌의 날' 앞두고 그린피스·안동대 보고서 발표
기후변화·밀원 감소로 꿀벌 생존 위협 받아
"총리 산하 '벌 살리기 위원회' 설립" 제안도

꿀벌의 집단폐사를 막으려면 벌을 위한 꽃·나무밭을 여의도 면적의 1000배가 넘는 30만㏊(헥타르) 규모로 확보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 벌의 날'을 이틀 앞둔 18일 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안동대 산학협력단은 '벌의 위기와 보호정책 제안'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에서 2000년대 중반 시작된 '꿀벌군집붕괴현상'(CCD)은 지금 한국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한국양봉협회는 지난달 기준 협회 소속 농가 벌통 153만7000여개 중 약 61%에 해당하는 94만4000여개에서 꿀벌이 폐사한 것으로 추산한다. 통상 벌통 1개에 꿀벌 1만5000천~2만마리가 사는 것을 고려하면 141억6000~188억8000마리의 꿀벌이 죽은 것이다.

작년 같은 기간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 78억마리(39만여봉군)가 월동 중 폐사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즉, 꿀벌 집단폐사 규모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

꿀벌 집단폐사 원인에 대해 그린피스와 안동대는 "모든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했다.

대표적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기후변화다.

보고서는 "지구 온도가 200여년 만에 1.09도 오르면서 벌이 동면에서 깨기 전 꽃이 피었다가 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겨울철 온난화와 이상기상현상 증가는 월동기 꿀벌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재작년 10월과 12월 이상기상으로 꿀벌이 제대로 월동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국내에선 꿀벌에게 꽃가루와 꿀 등의 먹이를 주는 '밀원'이 급격히 줄어든 것도 꿀벌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양봉산업법상 밀원식물은 매실나무와 동백나무 등 목본 25종과 유채와 해바라기 등 초본 15종이다.

보고서가 제시한 국립산림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밀원은 2020년 기준 14만6000㏊로 1970~80년대 47만8000㏊보다 약 33만㏊ 감소했다. 제주도의 1.8배, 여의도의 1145배 면적의 밀원이 사라진 것이다.

한국의 벌꿀 사육밀도는 1㎢당 21.8봉군으로 미국의 80배에 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인 만큼, 원래도 치열하게 먹이경쟁을 벌여야 했던 한국 꿀벌들이 더 힘든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보고서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원을 30만㏊는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밀원 확보를 위해서는 ▲국유림과 공유림의 적극적 활용 ▲'밀원직불제' 도입 검토 ▲국무총리 산하 '벌 살리기 위원회' 설립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부 차장 / 곽상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