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서거 14주기에 여야, 총집결…지지자들 여권 인사에 야유도

상대 진영 겨냥 "盧 정신 실현 안 돼"
與 "참여 민주주의, 돈으로 오염돼"
野 "尹 불통에 민주주의 위협받아"

여야가 2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를 맞아 추도식이 열리는 봉하마을에 모였다. '노무현 정신'의 계승을 강조해온 야당 인사들은 한목소리로 추모 메시지를 냈다. 한덕수 국무총리 등 여권 인사도 추모사를 전했지만 수천 명의 시민이 모인 현장에선 정부·여당을 향한 야유가 쏟아지기도 했다.

이날 오후 2시께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는 노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를 추모하는 추도식이 열렸다. 이재명 대표, 박광온 원내대표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김기현 대표 등 국민의힘 인사들도 추모를 위해 봉하마을에 총집결했다.



민주당 현역 의원들을 비롯해 문재인 전 대통령,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 야권 인사들은 노 전 대통령을 기억하며 울고 웃는 모습을 보였다. '친노무현계(친노계)', '친문재인계(친문계)"로 분류되는 이들도 안타까워하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노 전 대통령과의 오랜 인연을 이야기하며 운을 뗀 김진표 국회의장이 추모사를 이어나가자 고민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감정이 격해진 듯 눈물을 훔쳤다. 현재 노무현재단 이사장직을 맡고 있는 정 전 총리는 추도사 내내 슬픈 표정을 보이기도 했다.

김 의장이 '노 전 대통령이 바라는 세상이 쉽게 오지 않는다'고 언급하자 문 전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정숙 여사 고개를 연신 끄덕였다. 권양숙 여사도 땅을 보며 한숨을 쉬는 등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맞아 복잡다단한 심경을 드러냈다.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지금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념, 지역, 시대, 성별 등을 둘러싼 무수한 갈등 속에 노 전 대통령이 보여줬던 '통합과 원칙'의 가치를 떠올려 본다"고 운을 뗐다.

그는 "국익에 반하는 가짜뉴스와 선전선동으로 국민 분열이 초래되고, 노 전 대통령이 강조했던 참여민주주의마저 돈으로 오염된 상황이기에 그 의미가 더욱 깊게 다가온다"며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등 더불어민주당의 상황을 겨냥했다.

이어 "노 전 대통령이 꿈꾸셨던 '반칙과 특권이 없는 세상'을 위해 청년의 희망을 짓밟거나 공정과 정의의 가치를 훼손하는 행위는 반드시 근절하겠다"고 다짐했다.

반면 강선우 민주당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바보 노무현'은 이제 한 사람의 전직 대통령을 넘어 하나의 시대정신이 됐다"며 "정작 우리 정치권은 모두가 '노무현'을 외치지만, 그 누구도 '노무현'이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당은 '노무현의 정신'을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드리고 매일 실천하겠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의 영화를 보고 두 시간 동안 울었다고 하지만, 제1야당과는 단 20분도 마주 앉아 대화한 적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검찰을 비롯한 '권력기관 개혁'을 이루고자 했던 노무현의 간절한 꿈은 기득권에 막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며 "'불통 대통령'에게 위협받는 민주주의를 지키겠다"고 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흔들리고 지치더라도 용기를 잃지 말자. 그럴 때마다 척박한 땅에 변화의 씨앗을 심었던 노 전 대통령의 정신을 떠올리자"며 "앞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멈추지 않고 그 길을 따라가겠다"고 밝혔다.

박광온 민주당 원내대표도 "민주당은 '노무현의 유산'을 잃어가고 있다"며 "대한민국 정치는 노무현을 품지 못했다. 국민과 단절돼 있다. 더 낮은 자세로 국민과 끊임없이 소통하고 원하는 정책을 성공시키겠다"고 다짐했다.

위선희 정의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윤석열 정부 집권 이후 민주주의가 퇴행하고 있는 지금,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는 고인의 말씀이 더욱 깊게 다가온다"며 "낡은 정치를 새로운 정치로 바꾸는 정치개혁의 힘을 국민께서 보여주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이재명 민주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 여야 인사들은 이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4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회.행정 / 허 균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