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화 vs 재검토" 시험대 오른 광주 공공자전거 '타랑께'

이용횟수 감소세, "효율성 낮고 환경도 열악" 지적 잇따라
市 "인프라·환경 개선…녹색교통 활성화" 빅데이터 분석도

광주시가 친환경 녹색교통 활성화를 위해 운영중인 무인 공공자전거 '타랑께'가 계속 존속될 지, 전면 재검토될 지 시험대에 올랐다.



차고 넘치는 필요성과 명분에도 불구, 이용률과 효율성이 낮고 이용 환경도 열악하다는 문제제기가 잇따르면서 광주시의 고민이 깊다.

2일 광주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타랑께 이용횟수는 도입 첫해인 지난 2000년 1만8834회, 2021년 2만7220회, 2022년 2만5145회를 각각 기록했다. 도입 첫 해에 7월부터 운영된 점을 감안하면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운영 3년째지만 하루 평균 이용대수도 70∼80대에 그치고 있다.

국내 최초 공공자전거인 대전 '타슈'에 이어 도입된 '타슈 시즌2'의 올해 1분기 이용량이 81만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배 증가했고, 대중교통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서울시 '따릉이', 창원시 '누비자', 세종시 '어울링'과도 대비된다.

실적이 저조한 요인으로 부족한 인프라가 첫 손에 꼽힌다. 타랑께는 서구 상무지구와 동천동, 광천동 일원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운영대수 350대에 정거장도 51곳에 불과하다.

4만 여대에 대여소만 2600곳, 355만 회원을 거느린 서울에 크게 뒤쳐졌고, 광주 지역 카카오T 바이크와 비교해도 운영 대수가 3분의 1 수준인 데다 시설물도 장소별로 제각각이다. 운영시간도 오전 7시부터 저녁 9시까지로 한정됐다.

시의회는 올해 본예산 검토보고서를 통해 "연간 50억 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됨에도 대당 이용률은 4∼5일에 한 번꼴로 효율성이 낮고 관련 시장 선점에서도 밀렸고, 아파트 등지에 멀쩡한 자전거들이 장기 방치되고 있는 현상은 자전거 이용여건 개선의 필요성을 반증한다"고 밝혔다.

이어 "2년 간의 시범사업 결과와 다른 타 시·도 사례, 시 재정여건 등을 종합해 볼 때 더 늦기 전에 사업을 종료하고, 해당 예산을 자전거타기 좋은 도로 여건 개선 등에 투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광주시는 교통 혼잡 완화와 탄소중립, 시민 건강 증진이라는 타랑께의 당초 도입 취지를 중시해 운영 활성화에 방점에 찍되, 존속 여부에 대해선 원칙론을 기본으로 신중한 태도다.

시는 우선, 불만이 제기돼온 타랑께 앱 로그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결제시스템도 간편화했다. 또 빅데이터를 이용한 운영 실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 활성화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실태 분석은 이달말 완료될 예정이다.

미반영된 하반기 관련 예산은 7월 2차 추경을 통해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타랑께의 활성화 방안을 묻는 홍기월 의원의 시정질문에 "탄소중립과 녹색성장은 미래 세대를 위해 실천해야 할 하나의 목표"라며 "첨단지구에 자전거 특화마을 시범지구를 선정해 인프라 개선에 집중하고 타랑께 정거장도 광주 전역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주무국장인 이돈국 군공항교통국장도 "이용률이 낮아 사업성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면서도 "타랑께 사업을 접어야 한다는 목소리 한편에는 계속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고, 친환경 저탄소 녹색 교통수단 확충이라는 시대흐름상 존속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안.목포 / 이덕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