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청년 왜 고향 떠나나…남자는 일-여자는 가족 때문

 부산 청년인구의 연령계층별 순이동 변화를 분석한 결과, 25~29세 계층의 순유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은 직업 요인에 따른 순유출이 절대다수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가족 요인에 따른 순유출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부산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부산 청년인구 유출입 특성과 청년인구 유지방안' 보고서를 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령계층별 주요 이동권역을 분석한 결과 부산 청년은 수도권으로 절대다수의 순유출 경향을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25~29세 ▲30~34세 ▲20~24세 순으로 순유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5~29세 연령층의 경우 총 2만7786명, 30~34세 연령층은 1만6315명의 청년이 타 지역으로 유출됐다. 반면 20~24세 연령층의 경우 108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권역별로 조사한 결과 수도권으로의 유출된 청년은 ▲25~29세(2만100명) ▲20~24세(1만6295명) ▲30~34세(5932명) 순으로 집계됐으나, 동남권 및 기타 지역으로 유출된 청년의 경우 25-29세 연령층과 30~34세 연령층이 각각 4661명, 7893명을 기록한 데 반해 20-24세 연령층의 경우 1만6187명의 순유입 양상을 보였다.

이에 대해 김경수 선임연구위원은 "동남권 지역 청년들 사이에서 부산지역 대학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보니 20-24세 청년들이 부산으로 많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라면서도 "부산에서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는 일자리가 없다 보니 25세부터 34세의 타 지역 유출이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부산 청년인구의 순유출 요인은 ▲직업 ▲가족 ▲주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에 대해 부산 지역 내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부산을 떠난 청년들의 연령계층별 순이동 사유로는 남성의 경우 ▲직업(2만4966명) ▲주택(4533명) ▲기타(927명) 순으로, 여성은 ▲가족(1만3727만) ▲주택(3447명) ▲직업(2550명)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부산 청년인구 비중을 7대 도시 평균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 일자리 및 산업, 삶의 질 측면과 같은 큰 틀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법·제도 측면에서는 수도권정비계획법 폐지를 통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으로의 통합 개편, 부울경 인재 광역화 협약 체결 추진, 중앙정부 위원회 내 지역전문가 참여 비율 의무화, 청소년활동진흥법 개정을 통한 청소년·청년 활동 공간 균형 발전을 제안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 내 신규 산업 입지 및 입지 재배치를 위한 통과의례로 변질된 수도권정비법을 전면 개편하거나 지역균형발전법과 흡수·통폐합을 통해 국토 전반에 대한 통합관리법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경남본부장 / 최갑룡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