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광주전남본부, `전남지역 귀농·귀촌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10년간 지속 인구유입, 순전출인구 크게 감소…경제활성화 기대
전남지역 귀농·귀촌 가구의 지속적 유입이 지방소멸 위험 및 고령화 완화, 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전남지역 특성에 맞게 소득증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과 정주여건 개선 등 안정적 정착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김미주과장과 김지은 조사역이 18일 발표한 `전남지역 귀농·귀촌 현황과 시사점' 조사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귀농·귀촌이 본격화된 2011년 이후 2021년까지 전남지역 순전출 인구는 연평균 4232명으로 2000~2010년 기간(연평균 2만5140명)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귀농·귀촌을 통한 인구 유입은 지역민의 순유출을 축소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청년층의 장기 정착을 통해 출생아 수 증가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또 전남지역 귀농·귀촌인 중 30대 이하 비중(41.6%, 2021년기준)이 전남 전체 농·어가(12.5%)에 비해 크게 높아 향후 귀농·귀촌인의 지속적 유입이 지역의 고령화율을 낮추는 데 일부 기여할 것으로 기대됐다. 분석 결과 전남 귀농·귀촌인이 지역의 고령화율을 2013년 0.3%포인트, 2021년 1.3%포인트 낮춘 것으로 추정됐다.
전남은 2017년부터 지방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했고 2021년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보성, 신안,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해남, 화순 등 16개 군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됐다.
귀농·귀촌 가구의 지속적 유입은 지방소멸 위험 및 고령화 완화와 농촌 융복합산업화 성공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남지역의 귀농·귀촌의 주요 특징을 보면 2013년 대비 2021년 증가율의 경우 귀농(23.7%)·귀어인(98.0%)은 크게
늘었으나 귀촌인(6.1%)은 더디게 증가했으며 귀촌 목적지는 주로 도시 근방이 많았고 귀농·귀어에서는 장년층(50~60대), 귀촌에서는 청년층(30대 이하)이 다수를 차지했다.
귀농·귀촌인 통계 작성 시점인 2013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매년 4만명 정도 유입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귀어인, 귀농인, 귀촌인 비중은 각각 1.1%, 7.4%, 91.5%였다.
지난해 기준 귀농은 농업 여건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지역으로, 귀촌은 광주광역시 및 목포시 등 도시 근방에 주로 집중되며, 광주·전남에서 귀농·귀촌한 사람이 전체 귀농·귀촌인의 68.1%를 차지했다.
지자체 등에서 다양한 귀농·귀촌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으나 전남 지역의 귀농·귀촌 특징을 반영해 정책을 보다 내실화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귀농인의 소득 증대를 위해 고소득 작물 재배, 신기술 교육, 농촌관광 활성화 등의 정책적 지원과 함께, 농어촌 지역에 도시민이 유입되고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일자리확충, 주거 지원 강화, 지역 인프라 강화 등 지속적인 정주여건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귀농·귀촌인의 정보화 역량, 도시 거주 경험, 고학력 비율 등이 기존 농촌 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은 향후 지역의 농업 역량 제고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요인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담양.곡성 / 양성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