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연구원 "농촌 노인들 '지역서 나이 들기' 원하나 환경열악"

지역에서 나이 들기 '복지국가 실현' 화두로 떠올라
농경원 "농촌에 맞는 노인 주거복지 정책 적극 마련해야"

농촌지역 노인들이 '지역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lace)를 원하지만 열악한 환경 때문에 고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에서 나이 들기'는 복지국가 실현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노인들이 병원이나 요양시설에서 여생을 보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자신이 생활해온 지역사회와 주택에서 계속 생활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을 말한다.

농촌경제연구원이 7일 발표한 '농촌 노인 주거복지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화 추세가 심각한 농촌 마을을 대상으로 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90%에 가까운 응답자들이 현재 살고 있는 주택에서 앞으로도 계속 살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지역에서 나이 들기'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방증으로 해석되고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바람을 충족 시켜주기 위해서는 농촌 주택의 물리적 개보수를 비롯한 주택의 편의·안전 기능 강화 등 농촌 주택의 무장애화를 위한 다양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또 주택의 단열 상태 개선, 주택 고독사 방지 지원을 위한 원격 지원 서비스에 대한 수요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농촌 노인들의 '지역에서 나이 들기'를 실현을 위해선 일상생활에서 편의와 안전을 고려하고 존엄한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주거복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연구진이 농촌 노인의 주거 실태를 분석한 결과 농촌의 각종 생활서비스 수준이 대부분 도시 지역에 비해 불리한 것으로 조사됐다.

상업시설, 의료시설, 문화시설에 대한 불만족 응답을 나타낸 노인 가구 비율은 각각 53.1%, 57.2%, 64.2%에 달했으며, 대중교통 접근성에 대한 노인 가구의 불만족 비율도 44.5%로 도시 노인 가구 대비 16.4%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 노인 주거복지 정책 과제를 '고령친화형 농촌 노인 주택 개선'과 '고령친화형 마을사업 모델 정립과 마을 주거환경 개선', '고령친화형 농촌 주거복지모델 구축' 등 세 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책임자인 정문수 박사는 "농촌 노인들은 소규모 마을 공동체의 생활양식에 익숙하며, 농작업 중심의 경제활동을 평생 영위했다는 점에서 신체활동, 주거생활 특성 등 주거복지 수요가 도시 노인과 다르다"면서 "정부가 농촌 노인들이 정책적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농촌 특성을 반영한 노인 주거복지 정책을 적극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남광주 / 조경수 사회부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