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만 아니라면…서울시민 73% "올림픽 재유치 희망"

서울시, 2036년 하계올림픽 단독 개최 추진 검토
두 번 이상 개최국은 6개 뿐, 관건은 적자 줄이기

서울시가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에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서울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은 올림픽 재유치에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시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가 지난달 20일부터 6일 간 시의 의뢰를 받아 서울시민 1000명에게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72.8%가 올림픽 개최 재도전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응답자 중 24.6%는 '매우 동의한다'고 밝혔고, 48.2%는 '다소 동의한다'고 답했다. 20.9%는 '별로 동의하지 않는다'를 택했고, 6.3%는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고 했다.

시는 작년 추진했던 2032 서울·평양올림픽 공동 개최가 최종 무산되고, 그 실패 요인이 북한과의 공동 개최에 따른 불확실성과 시민들의 호응 없는 하향식 추진이라는 분석에 따라 의향을 살피는 차원에서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시민들은 서울이 올림픽 개최에 성공할 시 도움이 될 부분으로 ‘외국인 관광 활성화’ 81.4%, ‘스포츠 인프라 개선’ 80.7%, ‘서울시 브랜드 가치 제고’ 80.5% 등을 꼽았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으로는 역시 ‘대규모 적자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43.8%로 첫 손에 꼽혔다. 실제 2020 도쿄올림픽을 치른 일본 도쿄는 7조원에 이르는 적자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1년 연기와 무관중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올림픽 개최=대박'이라는 공식은 이미 사라진 지 오래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시설에 대한 과잉투자가 적자 유발의 가장 큰 이유로 지적되는 가운데 시는 1988년 올림픽 시설 등 그동안 건립된 국제스포츠 시설과 인천·경기지역, 대학교와 민간 보유 스포츠시설 공동 사용 등으로 그 폭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시가 올림픽 28개 종목 국제규격 경기장 확보 방안을 검토한 결과를 보면, 사용 가능한 경기장은 13개 종목, 경기도 및 인천시 소재 활용 가능한 경기장은 9개 종목이었다. 신축 검토가 필요한 경기장은 6개 종목(2개 경기장) 뿐이다.

시는 시설투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선수촌 건립비용 역시 주택재개발사업 등을 활용한 민간투자사업으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점쳤다. 1988년에는 5540세대 아파트를 건립해 올림픽 기간 참가 선수단과 기자단 숙소로 활용 후 민간에 분양한 사례가 있다.

시는 이밖에도, 스케이트보드, 브레이크댄스 같이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하지 않으면서 젊은층의 선호도가 높은 오픈형 도심스포츠(Urban Sports)를 올림픽 신설 종목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 개최 비용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 이후 2회 이상 올림픽을 개최한 나라는 6개국(미국·영국·프랑스·호주·그리스·일본)에 불과하다. 평균 50년 만에 두 번째 대회를 개최한 점에 비춰볼 때 시는 1988년 이후 48년 만인 2036년이 재유치의 적기라는 판단이다. 올림픽 개최에 따른 소요 비용은 5.5조(1996 애틀랜타)부터 68조(2008 베이징)까지 추정된다.

최경주 서울시 관광체육국장은 “서울은 1988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과 올림픽 유산 관리 능력이 검증된 도시"라면서 "다시 한 번 올림픽을 개최한다면 서울경제 활성화와 도시경쟁력 제고는 물론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 상황에서는 올림픽 유치를 서울 단독으로 추진하되, 여건이 허락된다면 남북공동 개최를 추진할 수도 있다는 열린 자세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공동개최 가능성도 남겼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임정기 서울본부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