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노인가구 月소비지출 140만원…노인외가구 절반 수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본 노인가구 소득과 지출의 변화'

지난해 노인가구의 소비 수준이 노인 외 가구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부족으로 생활에 필수적인 음식과 주택 그리고 의료서비스에 전체 소비 60%가 집중됐다.

다만 최근 10년간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가구 비율이 늘면서 노인 가구의 외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공개한 통계플러스 겨울호 '가계동향조사를 통해 본 노인가구 소득과 지출의 변화'를 보면 지난해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40만2000원으로 노인 외 가구(288만4000원)의 48.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35만4000원), 보건(25만3000원), 주거·수도·광열(24만2000원), 음식·숙박(12만7000원)의 순으로 지출이 많았고, 교육(5000원), 주류·담배(1만6000원), 통신(4만3000원)는 지출이 적었다.

노인가구는 전체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5.3%, 보건이 18.0%, 주거·수도·광열이 17.2%를 차지했다. 이를 모두 합하면 60.5%에 이른다.

노인가구는 노인 외 가구보다 식료품·비주류음료가 11.6%포인트(p), 보건이 10.1%p, 주거·수도·광열이 6.3%p,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가 0.9%p 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음식·숙박, 교육, 교통 등의 품목은 노인 외 가구가 노인가구보다 구성 비율이 높았다.

통계청은 "노인가구의 소비 여력은 노인 외 가구보다 부족해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음식과 주택 그리고 의료서비스(보건)를 제외한 품목의 지출 수준은 노인 외 가구에 크게 못 미치는 모습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노인가구의 소득 분위별 소비지출 금액을 비교해 보면 1분위 가구의 경우 월평균 103만4000원을 지출하고 있으며, 5분위 가구는 306만5000원을 지출해 5분위 가구가 3배 정도 지출이 크다.

노인가구 5분위의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지출액은 64만1000원으로 1분위 가구의 지출액(29만원)에 비해 2.2배 높았고, 보건 지출액도 5분위 가구가 39만2000원으로 1분위 가구의 지출액(19만1000원)보다 2.1배 지출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주거·수도·광열, 보건 항목 비율은 1분위 가구가 5분위 가구 대비 주거·수도·광열은 9.3%p,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는 7.2%p, 보건은 5.7%p 더 높게 나타나 1분위 가구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노인가구의 최근 10년간(2012~2022년) 12대 비목별 소비지출 연평균 증감률은 5.1%로, 노인 외 가구(2.0%)보다 3.1%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가구는 음식·숙박이 8.9%, 보건이 6.4%, 주류·담배가 5.4%의 순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노인 외 가구는 보건이 4.5%, 주류·담배가 4.2%, 음식·숙박이 4.0%의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가구 비율의 증가로 인해 소득이 개선되면서 외식하는 가구가 늘어나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부 / 장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