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단축 2조원 효과…KTX역 인근 시가지 확산

접근성 개선 잠재적 순효과 약 2조원
광주, 강원, 전남 등 순으로 효과 커
고속철 개통 후 지가 확 뛴 강릉역세권
광주송정·천안아산역 인근 상권개발
도심과 먼 울산역은 개발 한계

 2004년 경부고속철도 1단계 사업 개통 후 20년이 흘렀다. 2022년 기준 약 9500만 명이 69개 고속철도역을 통해 전국으로 이동하며 반나절 생활권을 형성했다.



고속철도는 경제발전과 도시 간 연결성 강화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실증분석 결과 국민이 누리는 접근성 개선의 잠재적 순효과는 0.7시간(약 2조원)으로 추정됐다. 정차도시의 사례를 보면 지가 및 토지이용 변화, 상권 및 유동인구 변화 등이 관찰됐다.

국토연구원은 1일 '고속철도 개통 20년, 국토균형발전 효과분석과 향후과제'를 공개했다. 고속철 개통 20년간 국토균형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고속철도의 역할을 모색한 보고서다.

연구원이 분석한 결과 국민이 누리는 고속철도만의 접근성 개선 잠재적 순효과는 0.7시간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 근로시간 1시간의 잠재적 가치는 8만원 정도로 추산되는데,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인구 1인당 시간 감소효과를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15~64세)로 추정하면 약 2조원 정도다.

접근성 개선 순효과가 큰 지역은 광주광역시(1.7시간)로 나타났다. 강원(1.4시간), 전남(1.2시간), 전북(1.1시간), 대구(0.9시간) 순이었다.

고속철 개통으로 인한 지가 변화를 보면 도심에 위치한 강릉역세권의 경우 고속철도가 개통한 2017년 12월 직후 약 2년간 강릉시 전체 지가보다 높은 가격을 형성했다. 도심외곽에 있는 광주송정역세권은 개통 시기와 무관하게 꾸준히 증가해 2019년을 기점으로 전체 지가보다 높게 형성되기 시작했다.

시가지가 확산되는 변화도 있었다. 도심외곽형인 광주송정역과 천안아산역은 고속철 개통 해 역 주변을 중심으로 상권개발 및 아파트 건설 등 변화가 관찰됐다. 반면 울주근 삼남읍에 신규 건설된 울산(통도사)역은 역과 도심 사이에 개발제한구역이 걸쳐져 있어 도심으로의 개발축 형성에 있어 한계가 드러났다.

유현아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주어진 자원과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고속철 효과를 늘리기 위해서는 주요 거점도시의 교통망을 연계하기 위한 철도 투자방향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미 구축된 역사의 위치를 바꾸기는 어렵지만 역사를 중심으로 한 개발계획과 주변 지역 연계성 강화는 고속철 효과를 확산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윤환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