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4.5조 '적자'…SMP 안정돼도 마진폭 적어
낮은 국제 유가에 한수원·발전5사 일제히 흑자
정산조정계수 실적 조정…결국 전기료 인상뿐
한국전력공사와 발전자회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동서발전·한국서부발전·한국중부발전·한국남동발전·한국남부발전)의 지난해 실적이 희비가 갈렸다.
한전은 국제 에너지 가격 안정세에도 마진폭 크지 않은 탓에 적자를 기록한 반면, 에너지 가격 하락에 연료비가 낮아진 발전자회사들은 일제히 호실적을 거뒀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전은 2023년도 연결재무제표 기준 4조5416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6조1775억원, 2분기 -2조2723억원 적자를 이어가다가, 3분기 1조9965억원, 4분기 1조9117억원의 소폭 흑자를 보였다.
한전 적자는 발전사에 전기를 비싸게 사 와서 싸게 파는 '역마진' 구조로 인해 발생한다. 한전은 계통한계가격(SMP)을 기준으로 발전사로부터 전기를 구매한다.
지난해 상반기 높은 SMP로 인해 한전이 비싸게 전력을 구매하며 큰 폭의 적자를 봤다가, 하반기 SMP가 안정되며 소폭의 흑자가 나타난 것이다. 다만 하반기 흑자 규모가 상반기 적자 규모에 미치지 못하며 한해 기준으로는 적자였다.
급등하던 SMP는 지난해 말부터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전력통계정보시스템(EPSIS)에 따르면 지난해 1월 SMP는 ㎾h(킬로와트시)당 241원이었는데, 4월 ㎾h당 165원으로 200원 선 밑으로 하락한 이후 11월 ㎾h당 121원까지 떨어졌다.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h당 100원이 넘지 않았던 걸 감안하면 아직도 높은 수준인 셈이다.
한전이 발전사에서 전력을 구매하는 비용이 줄고 있긴 하나, 전기요금이 오르지 않으며 전력 판매를 통한 마진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한전의 전력통계월보 12월호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12월 기준 ㎾h당 133.9원에 전력을 사서, 166.1원에 판매했다.
역마진은 풀렸지만 수조원에 달하는 적자를 해소하기엔 마진폭을 더 키워야 한다는 분석이 많다. 지난 2022년 4·7·10월, 이듬해 1월과 5월에 전기요금이 인상되긴 했으나 아직 미흡하다는 것이다.
한전과 달리 지난해 한수원과 화력발전 5사는 모두 흑자를 기록했다.
한수원은 지난해 22.8% 증가한 792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동서발전의 경우 같은 기간 1527억원의 이익을 기록했는데, 1년 전보다 1397.9%가 증가한 수준이다.
남동발전은 전년보다 47.5% 개선된 265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남부발전도 2955억원의 영업이익으로 1년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서부발전과 중부발전 역시 1997억원, 1284억원 각각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전과 달리 발전자회사들이 줄줄이 호실적을 거둔 배경에는 국제 에너지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 크다.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에 따르면 지난 2022년 6월 평균 두바이유는 배럴당 113.27달러, 브렌트유는 배럴당 117.50달러,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역시 배럴당 114.34달러를 기록했다. 고공행진을 지속하던 국제유가는 1년 만에 배럴당 74.99달러(두바이유), 74.98달러(브렌트유), 70.27달러(WTI)로 떨어졌다.
발전자회사들이 한전과의 거래에서 정산조정계수를 유리하게 적용받았는지 여부도 수익에 영향이 있었을 것이란 시각이 있다. 한전은 원자력·석탄 등 이윤이 날 수밖에 없는 발전원에 대해 정산조정계수를 통해 초과이윤을 걷고 있다.
발전자회사 실적을 좌지우지하는 요인은 한전에 대한 전력 판매다. 한전은 SMP에 연료비 변동비를 제외하고 일종의 할인율인 정산조정계수를 적용한 정산단가로 발전사로부터 전기를 구매하고 있다.
한수원의 경우 지난해 12월 ㎾h당 96.0원의 정산단가가 책정됐다. 한수원의 정산단가가 보통 ㎾h당 50원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평상시 수준을 훌쩍 넘어선 것이다. 이에 한수원은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이 1631억원에 달했는데, 4분기 큰 폭의 흑자로 손실을 상쇄하며 지난해 실적을 '흑자'로 마무리했다.
발전자회사들은 한전의 실적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올해에도 정산조정계수가 발전자회사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본다. 한수원과 발전 5사는 한전 지분이 100%인 자회사들이다.
발전자회사 관계자는 "발전자회사 입장에서 올해 실적을 예측할 수 없는 게 한전의 영향을 받는 자회사이기 때문"이라며 "한전 실적이 좋아지면 우리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결국 전력 판매 마진폭을 늘리기 위해 전기요금을 더 높여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에너지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전기요금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1월 업무계획 백브리핑에서 "전기요금을 현실화해 나가는 과정 중에 있다"며 "어느 시점에 얼마만큼 올릴지의 문제인 건데 올해도 상황을 봐서 현실화하는 노력들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윤환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