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오늘 마지막 신년사…국민통합·선도국가 강조

'코로나 위기극복, 선도국가 전환'…국정운영 목표 제시
임기 말 국민 통합 화두도…사면 추가 메시지 여부 관심
남북 관계 의지 강조할 듯…北에 종전선언 호응 촉구?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임기 마지막 해인 임인년(壬寅年) 새해를 맞아 국정 운영 방향을 담은 신년사를 발표한다. 이어지는 사회 각계 주요인사 초청 화상 신년 인사회에서 앞서 제시한 국정 목표를 공유한다.



문 대통령은 3일 오전 10시 청와대 본관에서 20분 간 2022년 공식 신년사를 발표한다. 대통령 재임 중 마지막으로 발표하는 신년사다. 잔여 임기 5개월 동안 정치·경제·사회·외교안보 분야별 국정 운영 방향을 포괄적으로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 신년사에 담길 주요 메시지는 '완전한 위기 극복, 선도국가 전환 원년'이라는 기조 아래 국민통합이 주요 화두로 채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를 코로나19 위기의 완전한 극복과 일상회복에 다가갈 수 있는 분수령으로 보고, 방역과 경제 모든 영역에서 임기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안으로는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고 밖으로는 선도국가의 입지를 확실히 다지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국민통합이 반드시 뒷받침 돼야 한다는 점을 역설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신년 특별사면·복권 대상자에 박근혜 전 대통령과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포함시키며 내세웠던 주요 명분도 '국민통합'이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022년은 매우 중요한 해로 국민통합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미래를 준비하는 국정 과제들을 제시할 것"이라며 "(메시지를) 종합하면 '하나된 마음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해 1월7일 주재한 신년 인사회의 경우 새해를 '통합의 해'로 규정짓고, 사회적 통합을 위한 '국민 마음의 통합'의 중요성을 언급했지만, 당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띄운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론과는 거리가 먼 원론적 수준에 그쳤었다.

나흘 뒤 이어진 신년사에서는 아예 통합 언급이 사라졌었고, 일주일 뒤 신년 회견에서 분열이 아닌 국민 통합을 전제로 한 사면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식으로 입장을 구체화시킨 바 있다.


매년 신년사에 빠지지 않았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의지도 어떤 형태로든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지난해 예년에 비해 대폭 줄어들었던 신축년(辛丑年) 신년사에서 확인했듯, 새로운 형태의 제안보다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당위성 차원에서 조속한 남북대화를 기대한다는 수준의 원론적 메시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자신이 제안했던 종전선언에 대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겸 노동당 총비서의 호응을 공개적으로 촉구할지 여부가 관심이다.

올해 대선과 지방선거 등 굵직한 선거를 앞두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관련 메시지도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메시지에서 "새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기다리고 있다"며 "국민과 함께 미래의 희망을 다짐하는 선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신년사 이후에는 장소를 옮겨 5부 요인, 여야 대표, 경제계 대표들과 화상 신년 인사회를 주재한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듬해인 2018년 30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첫 신년회를 주재한 이후 2019년(중소기업중앙회), 2020년(대한상공회의소) 등 매년 콘셉트에 맞는 기관을 찾아 신년 인사회를 직접 주재해왔다. 재계 주최의 신년 하례회에 수동적으로 참석하던 기존 관행을 탈피하자는 취지에서였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화상 신년 인사회 형태로 마련된 올해 역시 5부 요인(박병석 국회의장, 김명수 대법원장,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김부겸 국무총리,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참석할 예정이다.여야 정당 대표(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장 등 경제계 대표도 초청 받았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줄곧 신년 메시지→신년 인사회→국무회의→수석비서관·보좌관 회의→공식 신년사 발표→신년 기자회견 순으로 자리를 거듭하며 한해 국정 운영 방향성을 구체화했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공식 신년사 발표를 신년 인사회와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신년 기자회견 및 국무회의 모두 발언 형태로 신년사를 대체해왔던 그동안의 관례를 벗어났다.

신년 인사회 전에 신년사를 발표하기로 한 것은 차기 대선을 66일 앞둔 임기 마지막 해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대 5개월 여 남은 임기 동안 새 정책 과제를 제시하기보다는 지난 5년 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마무리 하는 관점에서 큰 방향성의 화두만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일 현충원을 참배하며 방명록에 "선도국가의 길, 멈추지 않고 나아가겠다"라고 적었고, SNS에는 "빠르게 바뀌고 있는 경제와 삶의 방식을 선도하고 새로운 국제질서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해 신축년(辛丑年) 공식 신년사는 '국민이 만든 희망, 회복·포용·도약'을 주제로 역설했다. 2020년 경자년(庚子年) 공식 신년사에서는 포용·회복·도약을 통한 '확실한 변화'를 화두로 제시한 바 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 / 김두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