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제주본부 황다슬 과장·서강대 정국모 교수 공동 연구
지난 50년간 기온 상승폭 1.4도…온실가스 배출량도 1.9배 증가
제주지역 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할 경우 총요소생산성이 연평균 0.23~0.41% 감소하며 피해 규모는 연평균 약 205억~365억원 규모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황다슬 과장이 서강대학교 정국모 교수와 공동 연구해 5일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최신 통합기후모형을 활용, 제주지역 경제의 구조적 특징을 반영하는 변수를 추가해 추정한 연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
황다슬 과장은 "지난 50년간(1973~2021) 제주지역 기온 상승폭은 1.4도로 전국(1.0도)을 상회했고, 향후에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해수면 상승, 이상기후 피해 증가 등이 우려된다"며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선 온도 상승폭이 클수록 생산성 저하 정도는 더 빠르게 나타나고, 총요소생산성의 감소가 누적돼 지속할 경우 2100년께 총요소생산성은 2050년에 비해 80~90% 수준까지 저하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미래 피해 비용은 제주도 GRDP가 연평균 2% 성장할 경우 2050년에는 370억~700억원으로 증가하며, 성장률이 높을수록 피해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분석됐다.
온도 상승을 이끄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기준 제주지역 4800만t으로 1990년 대비 약 1.9배(연평균 2.4%) 증가했다.
제주의 경우 도로, 민간항공, 해운 등 수송 부문에서 46.9% 발생해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발전에너지(22.0%), 가정 등 기타에너지(13.7%), 농축산 생산(7.5%) 순이었다.
이와 함께 탄소 축적에 따른 생산성 감소 효과가 제주지역이 전국에 비해 2.3배 정도 높게 추정됐고, 경제규모를 고려한 피해 비용도 제주지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 데이터를 패널 분석한 결과 2019년 기준 전국의 총사회적비용(SCC)은 8365억원으로 추정됐고, GRDP 대비 피해 규모는 제주는 0.10~0.18%임에 비해 전국은 0.04%로 제주가 2.5배 이상 높았다.
탄소 배출 t당 피해 비용도 제주는 1만6000~2만9000원으로 전국 4500원에 비해 3.5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 감소 영향을 크게 받는 수송, 관광업 등이 제주지역의 주력산업인 것에 기인한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다.
연구진은 "탄소배출량에 비해 잠재적인 지역경제 피해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점을 고려해 중앙정부 차원에서 향후 정책적 지원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제주도 기후변화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해선 제주지역의 미시적 산업구조를 반영한 모형 개발의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 취재부장 / 윤동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