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권은 불황형 상품?…경제위기 속 올해 복권 판매 7조 전망

IMF 판매량 줄고·금융위기 때 정체
로또 판매 개시 당시 330% 급등
"불황보다 신상품 출시 이벤트 원인"

복권 총 판매액이 매년 증가하면서 올해 7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최근 경제상황이 어려운 만큼 복권 판매량이 늘어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하지만 실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등과 복권 매출을 비교한 결과 불황에 복권판매가 증가한다는 것은 낭설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복권 판매 매출은 6조원을 돌파해 올해는 7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복권은 1969년 정기적인 발행복권인 주택복권이 발매된 이래 54년간 꾸준히 판매량이 증가했다.

복권 판매량은 경제가 성장할수록 판매량이 증가하고 경제가 어려울 때 판매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과거 경제위기 당시를 살펴보면 국내총생산(GDP)이 5.1% 줄어든 1998년 IMF 경제 위기 복권 판매량은 3209억원으로 전년대비 12.4% 감소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시에도 복권 판매량은 0.5% 증가에 그쳐 다소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코로나19 경기 침체기에는 판매량이 다소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경기침체보다는 경마, 카지노 등 다른 사행산업의 영업제한에 따른 대체효과 측면이 크다.

충북대학교 이연호 교수팀의 '경제 상황과 복권 매출 간 상관관계(2021년)' 연구결과에서도 복권 판매량은 GDP 규모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며 단기 경기상황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했다.

불황보다는 신상품 출시 등 이벤트가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실제 복권 매출액이 전년 대비 331.2% 증가한 2003년도는 온라인(로또) 복권을 출시한 2002년 12월 직후였다. 10% 이상의 증가율을 보인 2011년과 2020년에도에는 연금복권520 출시와 연금복권720+ 개편이 있었다.

반면 매출액이 10% 이상 급감한 2004년과 2005년에는 온라인(로또) 복권 가격이 2000원에서 1000원으로 인하됐다. 국민은행에서는 복권 판매가 중단된 바 있다.

아울러 가난할수록 복권을 더 많이 살 것이라는 기존 인식과 달리 소득이 낮은 계층보다 소득이 높은 계층이 복권을 더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성인 남녀 10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복권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복권 구입 경험자는 가구 소득 4분위(466만~673만원)가 39.0%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로 3분위(317만~465만원) 26.5%, 2분위(189만~316만원) 17.7%, 5분위(674만원 이상) 10.9%, 1분위(118만원 이하) 3.3% 순이었다.

복권위 관계자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복권 구매율이 가장 낮게 나타나 소득이 낮을수록 복권을 더 산다는 인식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줬다"며 "이러한 조사 결과는 작년 한 해에만 그런 것이 아니라 매년 실시하는 인식도 조사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복권판매로 형성된 복권기금은 저소득층 주거안정 사업, 국가유공자 및 소외계층에 대한 복지사업, 장학사업, 문화예술 사업 등 다양한 곳에 쓰이고 있다. 지난해 전체 복권 판매액 6조4292억원 중 복권기금은 2조9500억원(41%)으로 전년 대비 약 3400억원이 증가했다.

이에 따라 복권 구매를 '나눔행위'로 인식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2008년 52.1%에서 지난해 73.6%로 증가하는 등 복권 관련 인식도 좋아지고 있다. 공익기금을 투명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2008년 33.9%에서 2022년 60.7%로 크게 상승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조봉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