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인공위성·기상자료 조합한 산불 탐지기술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이 인공위성과 기상예보 자료를 조합해 산불을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UNIST는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임정호 교수팀이 인공위성 자료와 기상 예보에 사용되는 수치모델 자료를 융합해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산불 탐지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와 함께 인공위성과 수치모델 자료를 독립적으로 추출해 조합할 수 있는 이중 모듈 신경망 구조의 딥러닝 모델도 제안했다.

산불은 예측이 어려워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빠른 대응이 필수적이다.

미국의 NASA를 포함한 각국에서는 산불 탐지를 위해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인공위성 자료에만 의존해왔다.

연구팀은 인공위성 자료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형식에서 벗어나 기상 예보에서 사용되는 수치모델 자료와의 융합을 시도했다.

수치모델 자료는 상대 습도, 지표면 온도, 위성 관측각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같은 다양한 자료를 접목해 목표 지역의 환경과 관측 조건을 계산했다.

특히 인공위성에서 주로 활용되는 변수들과 수치모델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서로 다른 특성을 학습하기 위해 이중 모듈 신경망 모델을 개발했다.

이 모델은 11x11 픽셀 크기의 이미지를 입력하면 산불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개발한 기술을 미국, 일본, 한국에서 사용하는 탐지 기술인 MODIS/VIIRS, AHI, AMI와 비교했다.


기존 탐지 기술은 습도 또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파장별 신호가 섞여 산불을 정확히 감지하기 어렵다.

반면에 연구팀이 개발한 모델은 상대 습도 등 다양한 변수를 동시에 고려하기 때문에 환경의 변화가 탐지 정확도에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이어 다양한 환경 변화를 적용해 실제 구동 실험을 진행했다.

개발된 모델은 기존 탐지 기술보다 정확하게 산불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4㎢ 규모의 넓은 공간을 탐지하기 때문에 1㎢ 이하의 좁은 범위를 탐지하는 기존의 기술보다 위성의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더 높은 정확성을 보인 것이다.

임정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이종 자료의 융합에 탁월한 딥러닝의 장점을 극대화한 연구"라며 "향후 글로벌 산불 탐지기술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는 임정호 교수가 교신 저자로, UNIST 강유진 박사, 성태준 학생이 공동 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는 기상청의 폭염 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환경부의 관측기반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 기술개발사업, 항공우주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내용은 원격탐사 분야 최고 학술지인 '환경원격탐사(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저널'에 지난달 15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경남본부장 / 최갑룡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