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연구원 조사
10개소 중 평대리 4m 외
모두 갯녹음 진행·심화
제주 연안 마을어장의 갯녹음이 심화하고 있다.
11일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이 내놓은 ‘2023년 마을어장 자원생태환경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남부 지역에서 석회조류 확산으로 어장 내 갯녹음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갯녹음은 연안 암반 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흰색의 석회 조류가 달라붙으며 암반 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바다 사막화’라고도 불린다.
도 해양수산연구원이 수심별 갯녹음 단계를 조사한 10개소 중 서귀포시 위미2리와 신천리 앞바다가 수심별 평균 갯녹음 심화 단계로 파악됐다.
유·무절석회조류의 피도(%)를 이용한 갯녹음 판정 기준은 ▲정상상태 40% 미만 ▲진행상태 40~80% 미만 ▲심화상태 80% 이상으로 구분된다.
신천리는 수심 4m와 8m, 12m 모두 심화 단계를 보였고 위미2리는 4m와 8m가 심화를, 12m가 진행 단계였다.
또 일과2리와 하효동은 평균 진행 단계지만 일부 수심에서 심화 단계를 나타냈다.
특히 평대리 4m를 제외한 10개소 모든 수심대가 갯녹음 진행 상태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이번 조사에서 제주 연안에는 총 156종의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고 이 중 어장 내 주요 먹이인 갈조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 북동부(구좌)와 추자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으로 아열대성 부착산호류인 빛단풍돌산호와 거품돌산호 분포대가 넓어지고 남부지역은 아열대성생물의 분포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민 도 해양수산연구원장은 “이번 보고서가 대학과 연구소 등 관련 기관에서 제주 마을어장에 대한 연구 및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도 해양수산연구원은 마을어장 주변으로 유입되는 농약과 비료 등 물질에 따른 해양수실 및 해조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정밀 조사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 취재부장 / 윤동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