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썼는데 코로나에?’...... 의료진 직접 실험

아주대병원 김현준 교수, 마스크 종류별로 ‘특수 적외선 카메라’ 촬영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최근 확진자 수가 폭발적으로 급증하면서 생긴 궁금증 한 가지가 있을 것이다.

‘마스크도 잘 쓰고 백신도 맞았는데 왜 걸렸을까’하는 물음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일환으로 국내 의료진이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아주대병원 이비인후과 김현준 교수는 특수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해 ▲KF94마스크 ▲KF94마스크 착용 후 운동하거나 숨이 찰 때 ▲쉴드마스크 ▲정상호흡 등 방역 마스크 종류별로 호흡기류가 어떻게 이뤄지는지 관찰 실험을 진행했다.




보통 사람은 평상시 호흡할 때 약 500㎖의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쉰다. 이를 1회 호흡량으로 부른다. 마스크 착용 유무에 상관 없이 항상 1회 호흡량이 충분히 확보돼야만 편하게 호흡할 수 있고, 1회 호흡량이 부족하면 숨이 가빠지거나 불편하다고 느낀다.


김 교수는 이번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KF94 마스크 착용 시 필터 때문에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면 1회 호흡량을 확보하기 위해 필터 이외의 얼굴과 마스크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이동해 부족한 공기량을 보충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경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마스크가 얼굴로부터 떨어져 틈이 생긴다.

이 때문에 마스크에 얼굴을 밀착해도 오히려 1회 호흡량이 더욱 부족해져 마스크와 얼굴 사이의 틈으로 공기가 더 강하게 샜다.

편안한 호흡을 위해 느슨하게 착용할수록 공기가 더 많이 샜다.

만일 KF94마스크를 쓰고 운동을 하거나 숨이 차서 더 많은 공기량이 필요하면 모자란 공기량을 보충하기 위해 마스크가 더 많이 들리고 틈으로 새는 양도 많았다.

다른 비말 마스크는 KF94마스크보다 필터 기능이 떨어져 공기가 마스크를 그대로 통과해 호흡은 편했지만 차단력이 떨어졌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본부장 / 이병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