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 5·18 공론화 '오월의 대화' 시민 토론회
'공감대 부족'에 공감, 5·18 구묘역 명칭 변경 갈등
민간 5·18 행사 주도권, 특전사 초청 행사 등 이견
주인의식을 두고 벌어진 5·18민주화운동 계승 문제를 두고 토론회 형식을 빌린 공론회 장이 열렸다.
참석자들은 발제를 통해 5·18 단체와 광주시민 사이 '공감대 부족'에 공감했으나 5·18 구묘역 명칭 문제와 민간 주도 5·18 행사 주도권, 일부 5·18 단체가 주도한 특전사회와의 대국민 선언식 강행 문제 등에 대해서는 벌어진 간극을 재확인했다.
광주시의회는 13일 오후 광주 동구 전일빌딩245에서 5·18 공론화 프로젝트 오월의 대화 2차 토론회를 열었다.
'우리가 생각하는 오월 문제'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는 정다은·강수훈 광주시의원의 진행 아래 5·18공법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 5·18기념재단(재단),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 오월정신지키기범시도민대책위(대책위) 관계자들이 발제에 나섰다.
1부 우리가 생각하는 오월 문제, 2부 5·18 기념행사 평가와 발전 방안 등 순서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저마다 의견을 내세우며 입장을 밝혔다.
가장 먼저 발표에 나선 장세레나 대책위 상임대표는 5·18이 겪고 있는 문제로 과도한 당사자주의로 인한 시민 무관심과 신뢰 추락 등을 지적했다. 5·18 주요 기관의 책임론과 역할 부재에 대해서도 '기회주의적 행보' 라며 날선 비판을 이어갔다.
해결을 위해서는 5·18 문제를 종합·체계적으로 전담할 기관을 세워나가고 이를 통해 도출된 해법은 정책에 반영해 제도화시키자고 제언했다.
뒤이어 발표에 나선 유경남 재단 5·18국제연구원실장은 광주가 겪고 있는 5·18 문제의 구체적인 사례 나열보다 문제 발생을 막기 위한 상호 약속을 우선 만들자고 제언했다.
매년 5월 18일을 전후로 열리는 민간 주도 5·18 기념행사와 관련해서는 행사위·시민단체와 5·18 단체 사이 간극이 재확인됐다.
행사위는 전문성과 연속성,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조하며 시대·세대변화에 따른 기념행사의 모습 재정립을 약속했다.
반면 5·18 단체는 행사위 독식 체제에서 비롯된 반발 해소, 5·18 전국화를 위한 다양한 방법 모색 등을 이유로 내년부터 단체가 행사를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상은 행사위 집행위원장은 "행사위는 5·18정신을 정체성으로 하는 역사·전통을 가진 단체 참여로 구성된 조직으로 운영규정에 의거한 민주적 논의와 합리적 의사결정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며 "5·18 기념행사의 변화에 있어 속도가 아닌 방향이 우선돼야 한다. 방향은 지속적인 공론화와 합의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황일봉 5·18부상자회장은 "행사위는 5·18피해자들의 삶에 관심 없이 전국 노동자대회 등을 열며 자신들만의 잔치를 벌여왔다"며 "행사위가 5·18 유공자들의 삶과 처우에 소홀히 해온 만큼 이제부터라도 5·18 단체들이 나서 기념행사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토론회에서는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주최한 (사)대한민국 특전사 동지회(특전사회) 초청 행사와 특전사 출신 인사들의 국립5·18민주묘지 기습참배 논란, 5·18구묘역의 명칭 변경을 둔 갈등도 터져나왔다.
자유 발언에 나선 한 시민이 5·18 단체를 향해 "특전사회가 진상규명에 있어 어떤 역할을 했느냐. 이들의 국립5·18민주묘지 참배는 시민들의 의견을 묻고 진행한 것인가"라고 따져 묻자 정성국 공로자회장은 "5·18 단체들은 당시 상명하복에 따라 광주에 투입된 사병들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를 이어가고 있다. 특전사와 5.18 특수성을 감안해 순수한 마음으로 했던 것"이라고 답했다.
뒤이어 정 회장이 "현재 민족민주열사묘역으로 불리고 있는 망월동 5·18 구묘역의 명칭은 과거 5·18 단체 관계자들을 빼놓은 채 개정된 광주시 조례에 따라 굳어진 것이다. 이에따라 5·18과 관련없는 노동운동가들이 5·18구묘역에 묻히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순 광주전남추모연대 집행위원장은 "조례 개정 당시 옛 단체장들과 모두 논의된 내용이며 조례 개정 과정에서도 명칭 변경은 포함된 적이 없다"며 "숨진 노동운동가들은 5·18 정신을 이어받아 사회 운동에 투신하다 숨진 열사들이다. 5·18과 관련이 없다는 발언을 수정하라"고 지적했다.
토론회에 참여한 시민들은 저마다 5·18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언했다.
한 시민은 "향후 5·18 기념행사를 5·18 단체들이 주도한다는 주장에는 시기상조라는 생각이다. 내홍으로 시끄러운 상황부터 수습해야 하는 것 아닌지"라며 추가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다른 시민은 "청년과 청소년들에게 5·18은 '감히'라는 부사가 따라붙는다. 당시 태어나지도 않은 세대가 어떻게 이를 이해할 수 있느냐는 고정관념"이라고 지적하며 "이같은 부분에 대한 해결 없이 세대계승은 불가능하다. 적극적인 청년 계층 참여 유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광주시의회는 이날 시민들을 대상으로 받은 설문조사 결과를 향후 정책 제언에 참고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성.영광 / 나권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