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해상풍력발전 '탐라', 주민반대 딛고 6년 뒤 '상생모델'

사업초기 목표 초과 이용률…제주 가구 반년 전력량
2배 넘는 규모로 확장 공사 추진…"인허가에 지연"

제주에 지난 2017년 준공한 탐라발전이 6년여 지난 현재 30% 가까운 이용률을 기록하며 우리나라 최초의 첫 상업 해상풍력발전으로 성공 신화를 쓰고 있다. 사업 초기 주민 반대에 부딪혀 난항을 겪었지만, 지금은 주민 요구로 확장 사업에 돌입할 정도로 '주민 상생모델'로 평가된다.

31일 남동발전에 따르면 탐라해상풍력은 현재까지 약 98% 가동률로 운영되며, 평균 이용률은 약 29%다.



가동률은 일정기간에 발전시설에서 출력을 낼 수 있던 상태에 있던 시간 비율, 이용률은 실제 발전량과 발전설비가 낼 수 있는 발전량과 비교해 얼마나 전기를 생산했는지를 나타낸 설비의 효율적인 이용 정도다. 사업추진 당시 목표했던 가동률 95%, 이용률 28.9%를 상회하고 있다.


탐라해상풍력발전은 남동발전이 지난 2013년 제주 한경면 두모리부터 금등리까지 공유수면 약 8만1000㎡ 일대에 사업비 총 1650억원을 투입해 100% 국내기술을 적용해 준공했다. 남동발전이 63%, 남동 신재생펀드가 37% 지분을 갖고 있다.

당시 해당 사업은 국내 해상풍력이 상업용으로서 성공할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역할을 했다. 사업 초기 목표 이용률을 상회하며, 현재까지 생산한 전력량은 약 50만㎿h로 집계된다. 이는 가구 당 평균 전기 사용량 기준 제주 전체 가구인 31만3000가구가 약 6개월 간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무엇보다 주민 반대를 이겨내고 오히려 상생 모델로 거듭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사업 초기 남동발전은 지역 주민과 진통을 겪어야 했다. 제주 바다에 총 30㎿규모의 풍력 기기 10개를 꽂는 대형 공사다 보니,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제주 주민들의 반대가 거셀 수밖에 없었다. 이에 지난 2006년 8월 발전사업 허가와 개발사업시행승인을 받았지만 실제 착공은 9년이 지난 2015년에 돌입했다.


하지만 6년여 지난 현재 주민들의 우려를 불식한 것으로 평가된다. 건설 당시 제기됐던 가장 큰 우려는 소음이다. 막상 해상풍력에서 나오는 소음은 바닷바람과 파도 소리에 묻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족자원이 줄어들 것이란 예상과 달리 오히려 더 풍부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성호 탐라해상풍력발전 본부장은 취재진에게 "오히려 철 구조물이 어초 역할을 하면서 이끼나 물고기 먹이 등이 달라붙어 어족 자원이 풍부해진 것"이라며 "실제 잠수부들이 촬영해 본 결과 물고기가 이전보다 더 많아진 모습을 관찰했다"고 전했다.

게다가 해상풍력 경관을 찾아 관광객도 모여들고 있다. 야간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 제주와 협력해 발전기에 조명을 설치했다.

이효우 탐라해상풍력발전 신재생운영처 부장은 "사업 초반에 주민들의 우려가 많았다. 문제가 없다고 아무리 자료를 보여주고 설명해도 믿지 않다보니 초기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면서도 "자주 찾아뵙고 현지화하며 신뢰를 쌓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했고, 소통으로 힘든 부분은 과감하게 법적으로 대응하며 피해용역 조사를 거쳐 보상하는 식으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남동발전은 현재 설비용량(30㎿)의 2배가 넘는 72㎿ 규모로 총 4000억원을 투입해 9기를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2022년 6월 풍력발전 지구지정 변경을 신청하고 지난해 5월 사업 심의 의결을 받았다.


이번 확장 공사도 계획보다 지연되는 것과 관련 이성호 본부장은 "이전처럼 주민 반대나 민원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인허가 절차 때문"이라며 "재생에너지 중 해상풍력 사업을 국내에서 진행하려면 인허가 기간이 짧아도 2~3년이 걸리더라"라고 말했다.

이 부장은 "제주도는 특이하게 지구지정제도가 있어서, 이를 받아야 그 때부터 개발사업의 시행승인 인허가를 거치게 돼 육지 절차와 다르다"며 "풍력심의위원회와 제주도에서 지구지정 변경을 승인해야 하는데, 예정됐던 착공 일정 2024년보다 약 1년 가까이 지연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주 취재부장 / 윤동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