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윤, 이태원 참사 조작 가능성 얘기"…용산 "왜곡 개탄"

회고록서 주장 "극우 유튜버 음모론적인 말 나와 믿기 힘들어"

김진표 전 국회의장이 회고록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10·29 이태원 참사에 대해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27일 김 전 의장이 쓴 회고록 '대한민국은 무엇을 축적해왔는가'에 따르면 김 전 의장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윤 대통령이 '음모론'에 기댄 듯한 말을 했다고 공개했다.

그는 2022년 12월5일 국가조찬기도회를 계기로 윤 대통령과 독대한 자리에서 "이상민 장관이 이태원 참사에 대해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는 것이 맞다"고 조언했다고 언급했다.



김 전 의장은 책에서 "재난안전관리기본법에는 국가와 지방단체가 국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책무를 지고 사고 예방 노력을 하게 돼 있다"며 "대통령에게 '이 장관이 정치적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는 게 옳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장관이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야만 여야가 극한 대립으로 치닫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장관 본인 앞날을 위해서도 바람직했다"고 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그 말이 다 맞으나 이태원 참사에 관해 지금 강한 의심이 가는 게 있어 아무래도 결정을 못 하겠다'고 말했다"며 "그게 무엇인지 물었더니 '이 사고가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고 썼다.

또 "'그럴 경우 이 장관을 물러나게 하면 그것은 억울한 일'이라는 얘기를 이어갔다"고 기록했다.

김 전 의장은 윤 대통령의 반응에 대해 "극우 유튜버의 방송에서 나오고 있는 음모론적인 말이 대통령의 입에서 술술 나온다는 것을 믿기 힘들었다"고 떠올렸다.

이어 "윤 대통령의 의구심이 얼마나 진심이었을지는 알 수 없으나, 상당히 위험한 반응이었다"며 "나는 '그런 방송은 보지 마십시오'라고 말하고 싶은 생각이 굴뚝 같았지만, 꾹 참았다"고 전했다.

그는 해당 사태에 대해 "대통령이 결정하지 않으면 주변 이들이 강하게 진언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아무도 대통령에게 '노'라고 말하지 않은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앞날을 가늠하게 된 첫 지표"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통령실은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해 나누었던 이야기를 멋대로 왜곡해서 세상에 알리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은 당시 참사 수습 및 예방을 위한 관계 기관 회의가 열릴 때마다 언론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혹을 전부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대통령은 특히 차선 한 개만 개방해도 인도의 인파 압력이 떨어져서 사고를 막을 수 있었는데도 차선을 열지 않은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면서 "사고 당일 민주노총의 광화문 시위 때에도 차선을 열어 인파를 관리했다"고 강변했다.

대통령실은 "참고로 대통령은 사고 당시 119 신고 내용까지 다 공개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며 "최근에는 이태원특별법을 과감하게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치 / 김두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