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구멍' 여전…"응급이송 체계 등 손봐야"

재택치료 50대·7개월 영아 숨져…모두 일반관리군
"기저질환 모르는 경우 많아…병의원 연결 인 돼"
"현장에선 병상 없다고 해"…응급환자 이송 차질
"병의원 빠른 진료 구축…산모·신생아 대책 필요"

코로나19로 재택치료 중인 확진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숨지는 일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가시질 않고 있다. 정부가 강하게 부정하는 '재택치료=방치'라는 비판도 여전하다.

전문가들은 지방자치단체로 넘어간 전화 상담 체계와 응급이송 체계를 다시 손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위험군을 제대로 선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정부는 지난 10일부터 경증·무증상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령자, 50대 기저질환자 등 먹는 치료제 처방이 가능한 이들을 '집중관리군'으로 지정하고 하루 2회 전화로 건강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그 외 59세 이하 대다수 재택치료자는 '일반관리군'으로 지정돼 이른바 '셀프 관리'를 한다. 재택치료 중 증상이 있으면 하루 1회 이상 전화·상담 처방이 가능하고, 응급 상황시 119에 연락해 응급처치가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최근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된 재택치료자들이 잇따라 숨지는 사례가 발생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에 사는 50대 남성 1명이 지난 18일 오전 가족에 "몸이 좋지 않다"고 호소한 뒤 다음 날인 19일 오전 숨진 채로 발견됐다.

지난 18일 경기도 수원에서는 재택치료 중인 7개월 영아가 숨졌다. 영아가 경기를 일으키자 부모가 119에 신고했고, 구급대원이 6분 후 도착해 17㎞ 떨어진 안산 소재 대학병원으로 가까스로 이송됐지만, 사망 판정을 받았다.


고위험군 중심의 재택치료 관리 체계가 시행된 지 열흘이 지났지만, 재택치료 배정과 전화 상담·처방이 제대로 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응급상황 대응은 '무방비'라는 비판이 나온다.

천은미 이화여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50세 이하는 본인이 기저질환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있어도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며 병·의원과 연결이 안 돼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재택치료 관리체계가 시군구로 넘어가면서 응급이송체계도 함께 구축됐어야 했다"며 "전국적으로 중환자실 병상 현황을 알려주는 상황판이 실시간 수치를 반영하지 않는다. 119가 상황판을 보고 병원을 찾아갔는데 허탕만 치는 것이다. 그래서 병원에 계속 전화를 돌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난 18일 숨진 7개월 영아의 신고를 접한 소방 당국은 수원시내 병원 10여곳에 연락을 돌렸지만, 입원 가능한 병상이 없다는 답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겨우 수소문 끝에 안산 소재 대학병원으로 이동하던 중 영아가 심정지를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병상이 없어 응급이송에 애를 먹는다는 지적에도 정부 관계자는 "초응급 환자는 병상 배정 전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므로 응급상황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라며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소아 재택치료와 관련해서는 소아 전용 의료상담센터 확대와 응급처치 상황 대응 요령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재택치료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전향적인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기석 교수는 "의료상담센터는 소아와 고령층 가릴 것 없이 모두 필요하다. 문제는 소아 전용 중환자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는 점"이라며 "제때 치료할 수 있도록 렘데시비르, 팍스로비드 제한을 풀고, 병·의원에서 빠르게 진료받을 수 있는 체계로 빠르게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훈 가천대길병원 예방의학과 교수는 "고위험군을 선별해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산모나 신생아, 투석환자 등 여러 특수 고위험군을 위한 전향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감염병이 예전보다 중증화율이 떨어졌지만 없지는 않다. 계절 독감보다 위험하다는 것을 안내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임정기 서울본부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