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장관 "조건 충족되면 전작권 전환…BTS 대체복무는 확대 어렵다"

"최초 계획보다는 지연되고 있는 것이 사실"
"장병 휴대전화 사용 시범 사업은 장단점 있어"

이종섭 국방부장관이 20일 "전시작전권(전작권) 전환은 조건이 충족되면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제400회 국회(정기회) 제4차 본회의 대정부질문에 참석해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전작권 전환) 조건이 충족되기 위해 한·미가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고, 앞으로도 노력한다는 말씀을 드리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지난해 12월 한미 국방부 장관은 한국인 연합사 부사령관이 지휘관 역할을 맡아 미래연합사의 완전운용능력(FOC) 평가를 시행하기로 합의했다. FOC 평가는 한국군 4성 장군이 지휘하는 미래연합사의 전구작전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기본운용능력(IOC)-FOC-완전임무수행능력(FMC)' 3단계 평가 중 중간 단계다.

이에 따라 올해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연합연습은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인 한국군의 안병석 대장이 지휘했다.

이 장관은 전작권 전환이 늦어지고 있다는 의원 지적에 대해 "의지가 없다고 보시면 좀 그렇고, 이것이 최초의 계획보다 지연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유는 북한의 핵 위협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최초 2006년도에 합의했을 때는 북한의 1차 핵실험도 하기 전이었다. 그래서 고려를 해야 되겠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전작권은 전시에 군대를 총괄적으로 지휘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을 뜻한다. 전작권이 한국 정부의 손을 떠난 것은 72년 전이다. 6·25 전쟁 발발 후인 1950년 7월 이승만 당시 대통령은 한국군의 작전통제권을 더글러스 맥아더 유엔군 총사령관에게 이양했다. 이후 1994년 12월에 들어서야 평시 작전통제권이 한국군 합동참모의장에게로 넘어왔다.

참여정부 당시인 2006년 한미 정상은 전작권을 한국군에 넘기기로 합의하고 2012년 4월까지 전작권을 전환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면서 사실상 무기한 연기됐고 이후 문재인 정부가 의지를 보였지만 결국 실패했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전작권이 환수될지 불투명하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회.행정 / 허 균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