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조사위, 옛 광주교도소 건너편서 무연고 유해 발굴

2022년 하반기 조사보고서…행불자 가족 유전자 대조 작업 중
계엄군 하급 간부·병사 820여 명 접촉…57명이 유의미한 증언
전남 지자체 차원서 계엄군 지원했다는 증언도 나와 조사 중
신군부 수뇌부 정호영 전 특전사령관, 2번째 서면진술서 제출도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조사위)가 지난해 하반기 광주 북구 각화동 옛 광주교도소 건너편에서 무연고자 유해를 발견했다.

조사위는 발견 유골을 대상으로 행불자 가족 유전자 대조 작업에 나선 한편 암매장을 지시하거나 실행, 목격했다는 당시 계엄군 다수 증언과 현장동행을 토대로 조사 범위를 넓히고 있다.

조사위는 28일 2022년 하반기 조사활동보고서를 발표하고 지난해 하반기 진행된 암매장 제보 발굴 사례를 밝혔다.

앞서 조사위는 지난해 옛 3공수여단 소속 장병·하급 간부 820여 명과 접촉, 350여 명으로부터 암매장과 관련한 증언을 받아냈다.

조사위는 이중 57명의 증언을 추려 옛 광주교도소 일원 7곳에서 지표조사를 벌였다. 이들은 직접 매장을 지시·실행(9명)했거나 매장을 목격(13명), 매장 사실을 들었던 자(35명)들이다.

증언을 토대로 조사를 벌인 결과 현재 각화동 광주화물터미널이 들어선 곳 주변 야산에서 신원 미상의 무연고 유해 1구가 발견됐다.

조사위는 해당 유해에 대해 용역기관에 유전자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 조사위는 유전자 검사 결과를 행방불명자 가족 417명 전체와 모두 비교한 뒤 신원을 확인하고 5·18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 여부를 확정할 방침이다.

조사위는 이와 함께 광주시와 5·18기념재단으로부터 이관받은 53개 암매장 제보 현장에 대한 선행조사를 하고 있다. 이중 중복 제보 내용을 제외한 30개 현장에 대한 발굴타당성 연구용역을 거치고 있다.



조사위는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암매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장소를 추린 뒤 오는 6월부터 유해 발굴과 수습에 나설 방침이다.

조사위가 이미 확보한 290여개 유해에 대해서도 유전자 검사가 진행 중이다. 유해들은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공동묘지(261기)를 비롯, 전남 영암군 한 공동묘지(6기)와 해남군 군부대 주변(2기) 등 총 8곳에서 출토됐다.

조사위는 발굴된 유해들을 대상으로 기존 직계 가족 유전자 확인이 가능한 STR 분석 기법과 방계까지 조사 범위를 넓힌 SNP 방식을 도입해 신원을 확인, 교차검증하고 있다.

계엄군의 사체처리반 운용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조사위의 지표조사 대상이었던 7곳 중 유해가 발견된 곳 1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형지물이 크게 변한 상태였다.

조사위는 이에따라 최초 암매장 장소에서 유해가 수습돼 옮겨졌을 것으로 보고 전투교육사령부와 20사단, 31사단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전남 한 지자체가 계엄군을 지원했다는 진술도 나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5월 22일 오후 6시 30분 계엄군이 민간인 소유의 2.5t 트럭에 총격을 가한 뒤 이를 화순 방면 너릿재터널 출구 봉쇄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 트럭이 민간인의 것이며 당시 인명피해는 없었다고 전해져오나 최근 해당 트럭이 화순군에서 계엄군을 지원하기 위해 투입한 것이었다는 진술이 나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밖에 조사위는 5·18 당시 투입된 대대장급 이상 군인 27명에 대한 조사를 지난해 12월 31일까지 마쳤다. 정호용 전 특전사령관도 지난해 8월 29일 두번째 서면 진술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사위는 진압 작전 문서 기안자, 작전 장교와 보안사 관련 군인 25명에 대한 조사 등을 마무리 한 뒤 활동 종료 기한인 오는 12월까지 종합보고서를 펴낼 방침이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주 / 장진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