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 생애 주기별 분류 체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2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이충재)이 발표한 건설산업 스마트 기술 활용수준 진단을 위한 기술분류 체계수립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선 분류 체계를 정립해야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계획·설계단계 ▲시공단계 ▲운영·유지단계로 구분하고, 건설 신기술의 경우 추가해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을 위한 노력에도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은 발주·입찰제도 제약, 건설업계 인식과 활용도 차이 등으로 인해 한계가 있다는 게 건산연 측의 설명이다.
현재 스마트 건설기술은 크게 한국표준산업분류,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 국토교통 기술분류 체계 등에 포함됐다. 이런 분류체계는 산업별 통계분석, 과학기술 분류기준 수립, 기술수준의 조사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만큼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유도하고 효율성을 높이기에도 제약이 크다는 게 건설업계의 공통된 설명이다.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촉진과 활성화 유도를 위해선 스마트 건설기술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류체계를 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건설사업 수행단계와 생산시스템 혁신 특성에 따라 별도의 분류체계를 마련했다. 예를 들어 수행단계(생애주기별) 단계 중 계획·설계단계에서는 BIM, 디지털 트윈, VR·AR·MR 등이 포함됐다. 시공단계에서는 BIM, 디지털 트윈, VR·AR·MR, 스마트센서, 사물인터넷 등으로 분류됐다. 운영·유지단계에서는 BIM, 디지털 트윈, 스마트 센서, 사물인터넷 등이 필요하다.
박희대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스마트 건설기술 분류체계는 국내 건설사들의 단계별·영역별 스마트 건설기술의 활용 현황, 도입계획 등의 체계적으로 진단하는 게 도움을 줄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건설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지원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 조봉식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