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물환경학회 주관으로 정밀 분석
"먹는물 철저 관리…국민 안심토록 최선"
환경단체, 검사 지점·시기 등 놓고 비판
환경부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사)한국물환경학회 주관으로 대전 송촌 정수장 등 13개 검사지점의 수돗물과 공기에서 조류독소를 정밀 분석해 검증한 결과, 모든 검사지점에서 조류독소가 불검출(정량한계 미만)됐다고 12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2022년과 2023년 수돗물과 공기 중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됐다는 주장이 일부 제기됨에 따라,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조류독소 검증을 위해 물환경 분야에서 약 40년 역사를 가진 대표적 전문학회인 (사)한국물환경학회에 수돗물 및 공기 중 조류독소 검출 여부 분석과 검증을 의뢰했다고 전했다.
한국물환경학회는 녹조가 다량 발생한 지역을 중심으로 조류독소를 분석했다. 2023년 9월 대전시 송촌 정수장, 청주시 지북 정수장에서 수돗물 시료를, 그해 10월 대청호 3곳, 낙동강 8곳에서 공기 중 시료를 채취한 후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해 조류독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조사 지점의 정수처리된 수돗물과 공기 중에서 조류독소가 불검출됐다.
낙동강 인근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됐다는 일부 주장과는 달리, 그간 수도사업자와 국립환경과학원이 정수처리된 수돗물을 대상으로 진행한 분석과 국립환경과학원이 공기 중에서 진행한 분석에서도 조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올해에도 녹조가 주로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공기 중 조류독소 검출 여부를 감시할 예정이다. 또 정수장에서도 정수·원수에 대한 주기적인 조류독소 검사를 통해 먹는물 안전을 더욱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이번 종합적인 검증을 통해 수돗물과 공기 중에서 조류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환경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시와 철저한 먹는물 관리를 통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는 이날 오후 논평을 내고 "국민 안전과 건강에 직결된 녹조 독소 문제에 환경부 꼼수가 다시 등장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민간단체가 수돗물 녹조 독소 검출 문제를 지적한 곳은 사실상 전 구간이 상수원인 낙동강"이라며 "대청호와 낙동강 원수의 녹조 독소 농도는 차이가 크다. 수돗물 녹조 독소 분석에서 낙동강 권역을 제외한 이유는 선택적 회피인가"라며 반문했다.
이어 녹조 독소 에어로졸 조사에 대해서도 "지난해 민간단체는 대기 전문가, 녹조 독소 전문가와 6월, 8월, 9월, 10월에 대조군을 포함한 총 20여 개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조사했다"며 "10월 단 한 차례 조사한 환경부 용역 결과와 6월부터 10월까지 동일지점에서 반복적으로 조사한 민간단체 결과, 어느 쪽이 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인가"라고 말했다.
또 "민간단체는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조사위원회 구성을 정부에 촉구했지만 환경부는 이를 거부했고 연구 용역 과정에서 민간단체 참여는 철저히 배제됐다"며 "녹조 독소와 관련한 수돗물 안전성 우려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회부 차장 / 곽상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