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안, 중앙 참배광장에 묘역 조성 3900기 안장
3안, 1묘역 배후 25도 경사 야산 깎아 묘역 복안
국립5·18민주묘지(민주묘지)의 국립묘지 승격 20주년을 맞아 진행된 1·2묘역 통합 재구성 타당성 조사용역 최종 결과가 나왔다.
과거 공간 문제로 별도 조성된 2묘역을 기존 1묘역과 통합하는 것을 전제로, 향후 안장 대상자 등 3900여 명을 한 데 모으는 3가지 대안이 공개됐다.
국립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는 23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관 세미나홀에서 '국립5.18민주묘지 신묘역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조사용역은 별도 조성돼있는 국립묘지 내 2묘역을 기존 1묘역과 통합하자는 의견이 5·18 유공자들 사이에 대두되면서 추진됐다.
과거 '리데파크 518(Lidepark 518·The living and the dead park through 518)'이라는 이름으로 제안된 추모객 친화 문화공원 구상의 뼈대가 되는 묘지 조성안 내용이 담겼다.
보고회는 국민의례, 소장 인사말, 용역사 설명, 현장실사 순으로 진행됐다.
설명에 나선 용역사는 우선 이미 조성돼있는 782기 규모의 1묘역은 그대로 둔 채 1만2000여㎡ 중앙 참배광장에 2묘역 안장자를 포함한 3900여기 규모 묘역을 조성하자는 1·2안을 공개했다.
두 안 모두 현재 정부 주관 기념 행사장 등으로 쓰이는 중앙 참배광장을 묘역으로 조성하는 안을 골자로 하고 있다.
두 안은 중앙 참배광장이 없어지거나(1안) 축소되는(2안) 차이점을 갖고 있다. 없어진 참배광장의 역할은 민주의문과 추념문 사이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현행 묘역 구조를 그대로 두되 1묘역 배후 야산을 깎아 3900여기 묘역을 조성하자는 3안도 제시됐다.
다만 이 안은 경사도가 25도에 이르고 조경상 배후용지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제시됐다.
용역사는 2안을 현실성이 가장 높다고 평가했다. 민주묘지의 묘역 배치와 기존 시설과의 연계성이 가장 탁월하다는 점이 꼽혔다.
1년 1차례 대규모 정부 주관 행사는 장소를 이전해 진행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용역사는 세 안에 대해 실시계획 작성과 인허가검토 등에 최소 21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3안의 경우 토지 매입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추가로 걸릴 전망이다. 공사비는 최저 137억원에서 최고 187억원까지 추산됐다.
이밖에 유영봉안소와 대동시민군상은 그대로 자리를 지킨다.
용역사 관계자는 "1안의 경우 기존 참배공간이었던 광장 기능이 옮겨가므로 민주묘지의 가치가 일부 훼손될 수 있다"며 "3안이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순위가 굉장히 낮다. 과다한 사업비와 기간이 소요되고 묘역을 둘러싼 배후산지 훼손으로 경건함도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5·18 단체들은 조만간 용역사가 발표한 통합 5·18민주묘지 안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묘지는 지난 1997년 완공돼 2002년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민주묘지 안장 대상 유공자 수는 숨진 유공자를 모두 포함해 4600여명(민주묘지 추산)으로 집계된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호남본부 정병철 보도국장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