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설맞이 아동용품 13개 중 9개 유해물질 초과 검출

pH, 아릴아민 등 기준치 초과

서울시는 설 명절을 앞두고 해외 직구 어린이용 한복과 장신구 등 13개 제품을 검사한 결과 9개에서 납과 아릴아민 등 유해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했다고 24일 밝혔다.



어린이용 한복 7개 중 5개 제품은 pH(용액의 수소이온농도를 지수로 나타낸 값), 폼알데하이드(기준치 75㎎/㎏)가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국내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남아 한복 1개 제품은 조끼 안감과 저고리 원단 pH 수치가 8.6으로 국내 기준(pH 4.0~7.5)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여아 한복 2개 제품에서는 치마 안감, 겉감 자수, 저고리 등 부위에서 pH 8.7~10.3 수치를 나타내며 국내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또 다른 여아 한복 1개 제품의 경우 치마 안감 pH 수치가 7.7로 기준치를 벗어났다. 상의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 대비 약 4.5배 초과 검출되며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한복 스타일 유아용 의류는 조끼와 모자의 겉감(pH 9.6)과 안감(pH 7.8) 원단 모두에서 pH 수치가 기준치를 벗어나며 국내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섬유제품 pH가 기준치를 벗어나 강산성 또는 강알칼리성을 띠는 경우 피부자극·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폼알데하이드는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주요 오염 물질로 알려져 있다. 발암성이 있으며, 안구 자극, 호흡 곤란,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한복 관련 어린이용 장신구 5개 중 3개 제품도 유해 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거나 물리적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며 국내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머리띠 2개 제품은 각각 납과 아릴아민이 국내 기준을 초과했다. 납은 머리띠 큐빅에서 기준치(100㎎/㎏) 대비 8.1배 초과 검출됐다. 아릴아민은 머리띠 꽃 모양 자수 원단에서 기준치(30㎎/㎏) 대비 1.8배 초과 검출됐다.

댕기 형태 어린이용 장식품 1개 제품 금속 장식은 겉모양과 날카로운 끝 시험에서 어린이가 사용할 때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납은 안전 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 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고 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임신 중에는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아이 학습과 행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다양한 제품에서 착색제로 사용되는 '아조염료'가 땀에 의해 인체로 흡수돼 인체 내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발암성 '아릴아민'이 만들어질 수 있다. 피부와 구강에 장기간 접촉 시 피부염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뱀 모양 어린이 블록 완구 1개 제품은 기계적·물리적 시험에서 국내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일부 부품(삼각기둥 모양, 왕관 모양 블록) 끝이 날카로워 어린이들에게 상해를 입힐 위험이 있었다.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seoul.go.kr) 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ecc.seoul.go.kr) 누리집에서 상시 확인할 수 있다.

해외 온라인 플랫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나 불만 사항이 있으면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02-2133-4896) 또는 120다산콜센터, 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으로 문의하면 된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서울시는 지난해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통해 시민들의 안전한 소비 환경 조성에 힘썼다"며 "올해도 체계적인 안전성 조사와 더불어 강화된 재유통 점검을 통해 건강한 유통 질서 확립과 소비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KG뉴스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 / 임정기 서울본부장 기자 다른기사보기